헤링의 법칙은 좌우 눈꺼풀 근육이 같은 뇌신경(동안신경)으로부터 동시에 자극을 받기 때문에, 한쪽 근육이 약해지면 반대쪽도 영향을 받아 더 크게 떠야 하는 상황이 생긴다는 법칙입니다. 이 법칙은 특히 짝눈 교정 시 양쪽 눈매교정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는 데 자주 언급됩니다.
헤링의 법칙의 주요 내용:
- 동일한 신경 지배:좌우 눈을 뜨게 하는 근육은 동일한 뇌신경인 동안신경의 지배를 받습니다.
- 짝눈과의 연관성:한쪽 눈의 근육이 약해지면, 반대쪽 눈의 근육도 동일한 신경 자극을 받기 때문에 더 많이 뜨려고 노력하게 되어 짝눈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- 교정의 중요성:따라서 짝눈을 교정할 때는 단순히 약한 쪽 눈만 교정하는 것이 아니라, 좌우 눈 모두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양쪽 눈매교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.
- 입체시와의 관련성:또한 헤링의 등가 신경지배 법칙(Hering’s law of equal innervation)은 입체시 동물의 갑작스러운 눈 움직임의 결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기도 합니다.